미니 세금 공부

종합소득세 성실사업자의 모든 것

재린이미니 2023. 6. 5. 14:27
728x90
반응형

종합소득세 성실사업자의 모든 것

종합소득세성실사업자

종합소득세 성실사업자란 ?

보통 종합소득세 성실사업자라고 하면 " 나는 세금을 성실하게 납부하니까 성실사업자야 "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세금을 성실하게 납부한다고해서 성실사업자가 되는게 아니다.

성실사업자란 나의 1년 동안 총 수입금액이 업종별로 지정된 금액을 넘어가게 되면 성실사업자가 되는데

이러한 성실사업자는 매출이 큰 개인사업자들의 소득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2012년도에 만들어진 제도이다.

 

 

종합소득세 성실신고대상자

성실신고 대상자는 업종별로 수입금액 기준이 다른데 해 마다 이 기준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서 신고 전에 꼭 확인해봐야한다.

기장 의무 판정은 전기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고

성실신고확인 대상의 판정은 당기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판정하기 때문에 이 점도 유의해야한다.

 

< 업종별 성실신고대상자 기준금액 >

1. 농업, 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상품중개업 제외), 부동산매매업, 그 밖의 제 2호 및 제3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업 : 15억 원 이상

2.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조절 공급업, 수도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건설업,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등 : 7억 5천만 원 이상

3.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업(매매업 제외),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5억 원 이상

 

성실 신고 기준이 되는 수입금액에는 매출은 물론이고 회계상 매출이 아닌 잡이익으로 잡히는 유가보조금, 신용카드매출세액공제, 전자신고세액공제 등도 수입금액으로 보기 때문에 잘 계산해봐야한다.

 

종합소득세 성실신고대상자의 장점과 단점

먼저 이 성실신고대상자가 되었다면 기장의무를 무조건 성실신고대상으로 신고해야하는데

이렇게 성실신고대상자로 신고를 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우선 좋은점부터 살펴보자.

 

장점 첫번째, 성실신고확인비용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성실신고대상자가 되었다면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해야한다.

이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한 경우 성실신고확인에 직접 사용한 비용의 60%를 120만원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두번째, 성실신고확인사업자 의료비, 교육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때 근로자에 대해서는 의료비나 교육비 공제가 가능하지만

일반 사업자의 경우 의료비나 교육비 공제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성실사업자의 경우 해당 요건을 모두 갖춘자와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한 자는 의료비와 교육비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성실신고사업자는 이러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단점 첫번째, 성실신고미확인 가산세가 있다.

내가 성실신고대상자가 되었지만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미확인 사업소득금액이 종합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 곱하여 계산한 금액의 5/100을 결정세액에 가산한다.

무신고가산세, 신고불성실가산세, 무기장가산세와 성실신고 미확인가산세가 동시에 해당이 될 경우 그 중 큰금액에 해당하는 금액만 가산세로 적용한다.

 

두번째, 성실신고대상자가 되면 사업용계좌를 세세하게 관리해야한다.

보통 일반 개인사업자의 경우 세무서에 사업용계좌를 등록했어도 그 계좌의 세세한 내역까지 장부로 기록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성실신고대상자는 신고에 들어가는 서식에 사업용계좌 기초잔액, 출금, 입금, 기말잔액까지 들어가야한다.

 

이렇게 성실사업자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일반 개인사업자의 경우 5월31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하지만

성실사업자의 경우에는 6월30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하면 된다.

이번 종합소득세의 신고기준이 성실사업자가 되었다면 당황하지말고

위 해당사항 잘 확인하고 종합소득세 신고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