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세상 공부

2023년 출산 지원금 종류 및 신청 방법

재린이미니 2023. 7. 19. 10:30
728x90
반응형

 결혼 전 부터, 아내와 자녀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다. 나는 우리의 생활이 너무 힘들어 지는 것은 싫기 때문에 하나만 낳아서 키우고 싶었다. 그러나 아내는 혼자는 외롭다고 무조건 2명은 낳자고 하였다.

 

 그래서 우선 한명을 낳아보고, 생각해보자는 결론이 났고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기 위해 알아보던 중 생각보다 많은 지원금이 있는 것을 알게되었다. 임신 관련 자료들은 아이사랑 사이트를 참고하면 더 좋을 것 같다. 

https://www.childcare.go.kr/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www.childcare.go.kr

 

다만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신청해야되는지 정리가 잘 안되어 있어서 한 번 정리를 해보았다. 

 

출산지원금 종류-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영아수당)아동수당

 1.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임신 1회당 100만원, 다태아 임신부의 경우 140만원, 분만 취약지는 20만원 추가지원.

임신 확인과 동시에 신청가능하며, 분만일로부터 2년간 사용 가능하다.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산부인과 진료비와 출산 후 병원비로 소진하지 않을까싶다. 

http://www.voucher.go.kr/card/introduce.do?p_sn=51 

 

국민행복카드

국민행복카드에 대한 이용대상, 혜택, 신청방법, 사용처, 공지사항, 자주묻는질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www.voucher.go.kr

국민행복카드설명

 2. 첫 만남 이용권: 출생하는 모든 아동에게 주어지는 이용권으로 단태아는 2백만원, 쌍둥이는 4백마원, 세 쌍둥이는 6백만원이 지급된다.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로 바로 지급된다. 따라서 국민행복카드 임시바우처를 다사용하였다고 버리면 안된다.

영유아의 보호자 및 대리인이 거주 중인 행정복지센터(구 동사무소) 나 복지로, 정부24시 홈페이지에 신청 가능하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tbu/app/main/Main

 

www.bokjiro.go.kr

 첫만남 이용권은 아동출생일(주민 등록일)로부터 1년이고, 조리원 비용, 산후도우미 비용, 마트, 백화점, 쿠팡 등등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굉장히 효율적인 이용권이다. 

 

3. 부모급여(구 영아수당): 2023년부터 도입되었으며, 이전의 영아수당이 바뀐 것으로써,

현재 23년 출생아는 1세미만까지 월 70만원, 1~2세 월35만원 매월 25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 영아수당에서는 가정보육하는 영아를 대상으로 했다면 부모수당은 어린이집, 가정양육 상관없이 비용이 나오게 됩니다. 

 

 다만, 어린이집 등원시 원비 납부 후 차액이 지급됩니다. 2024년 에는 1세미만까지 월100만원 1~2세까지 월 50만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출산으로 인해 맞벌이가 힘든 부부에게는 그래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부모급여 역시 행정복지센터, 복지로사이트에거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첫 만남 이용권을 신청할 때 같이 신청한다고 한다. 

 

4. 아동수당: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주어지는 지원금으로 월 10만원씩 소득 제한 기준 없이 모든 가구에게 지원된다. 

다만 국내에 아동이 국내에 거주해야 하며 해외 90일 이상 체류할 경우 지급이 중단된다. 

 

 아동수당은 8세미만(95개월)까지 지급이 된다. 행정복지센터에 출생신고를 하면서 부모수당, 아동수당, 첫 만남 이용권을 한꺼번에 신청을 하면된다. 아니면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에서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를 작성해도 가능하다. 물론 복지로 사이트에서도 가능하다. 

https://www.gov.kr/main?a=AA020InfoCappViewApp&HighCtgCD=A01004&CappBizCD=17410000001 

 

출산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행복출산) | 민원안내 및 신청 |정부24

출산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행복출산) 정보 신청방법, 처리기간, 수수료, 신청서, 구비서류, 신청자격 정보 제공 신청방법 인터넷, 방문 수수료 수수료 없음 ※ 구비서류 제출을 위한 수수

www.gov.kr

 

5. 그 밖에 기타 지자체 지원금: 내가 살고 있는 울산은 2023년 출산 가정에 산후조리비 1인당 50만원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2023년 사업이기 때문에 2024년에는 진행을 할 지 알 수 없다. 이 또한 출생신고를 하면서 신청이 가능하다. 

 

이 밖에 출산양육장려금품지원을 각 구마다 받을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울산 남구는 아래와 같이 60만원과 한우 미역을 지급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울산남구출산장려금품지원

 

 이 밖에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출산지원금이 더 궁금하다면 

https://lifewithbaby.co.kr/

 

육아생활

내가 사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출산장려금, 아동수당, 양육수당 알아보기

lifewithbaby.co.kr

육아생활 사이트를 활용해 보는 것도 추천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