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많은 이웃국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24일부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온 오염수를 정화 처리한 뒤 방류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는 환경, 과학, 경제, 그리고 국제 관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복잡한 문제들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
이 문제에 대해서 정답은 없는 것 같다. 다만 지금까지 어떠한 점들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 정리를 해볼까한다.
1.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의 가장 큰 논쟁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의 가장 큰 논쟁은 바로 '삼중수소'에 관한 논쟁이다. 삼중수소란 방사성 수소의 일종으로, 원자 번호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수소의 동위원소로서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삼중수소는 물과 결합하여 "삼중수"로 존재하게 된다.
이 삼중수소는 인체에 피부를 통한 침투는 힘이드나, 삼중수가 포함된 물을 섭취하거나 동식물을 섭취하면 인체 내에 방사선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바로 이 삼중수소 아직 우리 과학 기술이 적용된 정화시설로 제거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오염수를 정화하여서 저장 탱크에 저장 후 삼중수소의 농도를 1500Bq/L이하로 낮춰서 30년간 바다로 방출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 부분에 대해서 과학자들 간에서도 큰 논쟁이 되는 것이다.
이 정도의 양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과학자들이 있는 방면에, 이 정도의 양이라도 충분히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는 과학자들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영향이 있다는 사람들도, 영향이 없다는 사람들도 결과는 아직 모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단 방출을 하고 보자는 것은 사람들의 불안감을 더 극대화시키는 것 같다.
[日 오염수 팩트체크] ④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 : 동아사이언스 (dongascience.com)
[日 오염수 팩트체크] ④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5년 뒤 방사성 물질의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 김경욱 제공 [편집자주] 이르면 한 달 내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한다. 최근에 공개된 국제원자력기구(
m.dongascience.com
생물학자가 경고하는 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소의 진실 -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생물학자가 경고하는 후쿠시마 오염수 속 삼중수소의 진실 -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되면 전량 바다에 버려지는 삼중수소는 어떻게 우리의 식탁에 오르고 어떤 위협을 갖고 있을까요? 그린피스가 세계적으로 저명한 생물학자와 함께 확인한 삼중수소의
www.greenpeace.org
2.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오염수를 방류하는 이유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한 일본의 방안 중 하나로 방류가 제시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 있다.
-탱크 저장 공간의 한계: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오염수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이를 저장하기 위해 수많은 탱크가 건설되었다. 하지만, 오염수의 지속적인 발생에 따라 저장 탱크의 공간이 점점 부족해지고, 일본 정부와 TEPCO(Tokyo Electric Power Company)는 더 이상의 오염수를 저장하기 위한 새로운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했다.
-기존 오염수 처리 기술의 한계: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에서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은 이미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삼중수소(Tritium)는 현재의 기술로는 오염수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로 인해 오염수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과학적으로 판단해 보았을때 많은 과학자들이 삼중수소가 포함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이 인체나 환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욕조에 물을 가득 담아둔 다음에 검은색 잉크를 조금 뿌려도 표시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바다에 방류되는 과정에서 오염수는 크게 희석되며, 삼중수소의 방사성도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큰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번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평가에서도 이런한 방식으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은 안전하다고 평가하였다는 것이다.
-비용 및 기술적 고려: 오염수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은 큰 비용이 발생한다고 한다. 방류 외의 다른 처리 방안들, 예를 들어 삼중수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 개발 등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3. 수산업계 비상 및 나의 생각
-당장 내 주위에서도 내일부터는 해산물을 안먹는다, 소금을 미리 사재기 해야한다. 이제 회는 다먹었다 하는 이야기가 심심치 안헤 나오고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조기 방류說’에 수산업계·지자체 뒤숭숭··· - 스포츠경향 | 뉴스배달부 (khan.co.kr)
‘후쿠시마 오염수 조기 방류說’에 수산업계·지자체 뒤숭숭···
“한국 여권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조기 방류를 일본에 요청했다”는 일본 아사히신문의 최근 보도에 우...
sports.khan.co.kr
[전국]소비 '급락', 값은 '폭락'..."안전한 수산물 안심하고 드세요!" | YTN
소비 '급락', 값은 '폭락'..."안전한 수산물 안심하고 드세요!"
[앵커]경기 침체와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로 수산물 판매에...
www.ytn.co.kr
뉴스에서도 전복 가격이 반값이 되었다. 수산업계 비상 등의 뉴스가 1면 기사를 도배하고 있다.
유튜브와 SNS가 발달하면서 기사에 대한 사실 확인과 논문과 과학적 지식에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지만 아직 나와 같은 일반 국민들은 소위 말하는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믿고 그들이 제시하는 증거, 논문들을 믿을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나와서 의견을 나두고 증거를 제시하면서 토론하는 그러한 장면들이 많이 나왔으면 어땠을까?
또한 이 사건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서로 물고 헐뜯을 것이 아니라 여당 야당 국회의원들이 힘을 합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우리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좋을지 힘을 합쳐야 하지 않았을까?
내가 생각하기에도 일본이 방류를 하려고 하는 이유는 단순히 자기들의 이익때문이다. 더이상 자신들이 가지고 있기 힘드니깐, 방류를 해도 큰 문제가 없다고 하니깐 등의 이유이다.
이건 뭐 바다에 내가 먹다 남은 라면을 버려도 물고기들이 다 먹고 큰 피해가 없으니깐 버려도 된다 이런 논리 아닌가? 문제가 없다고 하여도 주위 다른 나라에서는 굳이 우리에게 피해가 생길 수 있는 물질을 방류하는 것 자체가 싫을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가 미국처럼 힘이 있어서 바로 일본의 방류를 강제로 막을수가 있다면 제일 좋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어짜피 방류를 막지는 못한다면, 조금 더 일본이 오염수를 저장하고 있고 ALPS를 통한 방류 실험을 자세히 해본 후 믿을 수 있는 결과를 도출 한 후 방류를 했으면 어땠을까? 지금은 일본도, 우리나라도, 미국도 다 서두르는 듯한 느낌을 지우지 못하겠다.
나는 20대때 광우병선동에 일선에 나가서 투쟁도 하고, 정말 미국산 소고기가 들어오면 우리가 다 광우병에 걸려서 죽는 줄 알았다. 그 당시에는 tv에 과학자들이라고 나와서는 다 미국산 소고기를 먹으면 10년뒤에 뇌에 구멍이 뻥뻥 뚫릴 것이라고 했고, 그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나 토론을 쉽게 찾아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 나는 어제도 미국산 소고기를 구워먹었다.
그때와 지금의 차이는 우리가 조금더 자료에 쉽게 다가갈 수 있고 다양한 의견을 가진 과학자들 사람들을 볼 수 있다는 것뿐이다. 여전히 무엇이 사실인지, 이 과학자의 증거가 사실인지 알기는 굉장히 힘이 든다. 다만 더 믿음직스러운 증거를 제시하는 전문가들을 믿을 수 밖에 없다.
일단은 많은 과학자들이 오염수 방출이 안전하다고 이야기 했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믿을 것이다. 하지만 과학도 절대적인것이 아닌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방출이 시작되면 30년동안 우리들의 건강,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살펴보아야 하면 불안한 삶을 살아야 할 것 같다.
내일부터는 해양수산부방사능안전정보를 꾸준히 보아야겠다. 요즘 비정상적인 날씨도 그렇고, 방사능도 그렇고 미래가 조금 두려워진다. 하지만 그래도 오늘을 열심히 살아야겠다.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물방사능안전정보 (mof.go.kr)
'미니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임영웅 전국투어 콘서트 예매일정 예상 및 방법 (0) | 2023.08.30 |
---|---|
복지서비스 총정리, 복지로 맞춤형 급여와 보조금24 신청하기 (2) | 2023.08.29 |
2023,2024년 경찰공무원 시험 준비 (8) | 2023.08.21 |
2023년 출산 지원금 종류 및 신청 방법 (1) | 2023.07.19 |
2023 하와이 신혼 여행 찐 후기(feat. 비용, 숙소 후기)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