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재테크 공부

매일 조금씩 경제금융용어 공부 700선 가계순저축률

재린이미니 2023. 3. 8. 14:31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에 공부한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 우리 집은 가계수지가 일단 그래도 흑자를 유지 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1인가정일때는 솔직히 가계부도 안쓰고 돈을 그냥 막 썼는데 이제는 그래도 매일 매일 가계부를 쓰고, 나갈 지출들을 통제 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2022년 3월의 일반 가정의 흑자율이 29.8%라고 하니 우리 집의 흑자율은 40%를 목표로 해야겠다. 유튜브에서 보면........소득의 70%를 저축하라고 하는데.....여기서 말하는 저축률이 오늘 공부해 볼 가계순저축률이다.

 

가계순저축률

 -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
히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경제금융용어 700선가계순저축률공식

-연관검색어 : 가계처분가능소득, 저축률/총저축/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

-출처: 경제금융용어700선

- 말이 어렵다 쉽게 설명을 해보자면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채와 가계수입을 고려하여 가계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저축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한 가계의 총 소득이 1억이고, 이 가계가 총 소비한 금액이 8000만원이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이 가계의 총 저축액은 2000만원이다. 따라서 가계순저축률은 이 가계의 총 소득에서 총 소비 금액을 차감한 후, 이를 총 소득으로 나눈 값

가계순저축률 = (총 소득 - 총 소비 금액) / 총 소득 = (100,000,000원 - 80,000,000원) / 100,000,000원 = 0.2 또는 20%

따라서 이 가계의 1년간 가계순저축률은 20%인것이다. 이는 이 가계가 총 소득 중 20%를 저축으로 남겨두고 나머지 80%를 소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가계수입에 포한되는 것이 가계순처분가능소득, 사회적현물이전수취, 연금기금의가계순지분증감조정이 포함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